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과 정보 공유

중국판 AI 딥시크 DeepSeek의 영향과 미래 전망

by 꿈을꾸는아이1 2025. 1. 31.

딥시크썸네일

최근 중국판 AI DeepSeek 한국어로 딥시크가 연일 뉴스에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주로 나오는 소식으로는 딥시크(DeepSeek)가 미국은 물론 한국 반도체 시장은 물론 경제분야까지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소식인데 딥시크가 무엇이고 어떤 영향과 미래 전망도 관측해 봤습니다.

 

중국판 AI 딥시크 DeepSeek

'DeepSeek' 한국어로 '딥시크'는 쉽게 말해서 중국에서 개발한 ChatGPT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중국의 '량원펑'이라는 사람이 창업으로 시작해 2023년 딥시크를 설립했으며 2025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한 ChatGPT와 비슷한 오픈형 AI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오픈형 AI 모델이라고 불리는 챗GPT와 같은 인공지능 분야는 사실 미국만의 특별한 자산처럼 느껴질 정도로 미국을 따라갈 수 있는 나라가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 정도로 성장세를 보였는데 처음으로 미국의 인공지능분야인 챗GPT와 어깨를 나란히 할 중국에서 인공지능 분야 딥시크가 나왔다는 것은 주목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딥시크 DeepSeek를 주목 하는 이유 첫번째.

중국판 인공지능 오픈AI 챗GPT급 딥시크 DeepSeek를 주목하는 이유로 중국에서 개발했다는 것 말고도 다른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2023년에 시작하여 2025년 현재 이르기 까지 엄청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 입니다.

딥시크
인공지능

현재까지 최종 4개의 모델을 공개했는데요. 2023년에 첫 모델 '딥시크 코도'를 공개했으며, 이후 2024년 5월과 11월에는 첫 번째 모델보다 더 성장한 '딥시크-V2'와 '딥시크-V3'모델을 각각 출시했습니다. 최근 2025년 1월에 출시한 모델 '딥시크-R1'모델은 최근 미국에서 개발된 오픈형 AI 모델과 비교한 결과 여러 분야에서 우수한 능력을 보여주며 전 세계를 놀라게 하는 등 딥시크의 성장은 무서울 정도라는 평입니다.

 

딥시크 DeepSeek를 주목 하는 이유 두번째.

중국에서 출시한 딥시크 DeepSeek를 주목하는 이유는 또 있습니다. 바로 개발 과정에서 투입된 비용입니다. 중국의 가전제품을 보면 종종 능력은 비슷한데 반해 가격이 절반 수준으로 가성비 있다는 평을 받는 물건을 볼 때가 종종 있습니다. 이번에 중국에서 개발한 딥시크도 마찬가지입니다.

오픈 AI 챗GPT의 개발비용은 약 1억 달러 이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반해 중국판 AI 딥시크의 세 번째 개발 모델인  '딥시크-V3'기준 개발비용은 약 558만 달러로 엄청 저렴하게 개발되었다는 것이 전 세계가 주목하는 이유입니다. 반에반도 안 되는 돈으로 현존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챗GPT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개발한 셈이기 때문입니다.

딥시크
인공지능

 

중국의 오픈AI 딥시크의 영향과 미래 전망

2024년 미국의 엔비디아의 주식이 엄청 올랐다는 말을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입니다. 이유는 인공지능 개발에 필요한 필수 부품이 'GPU'라는 칩인데, 미국 기업인 엔비디아에서 독점 생산한다라고 할 정도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 세계가 인공지능을 개발함으로써 엔비디아의 GPU의 소요가 지속 많아졌기 때문에 엔비디아의 GPU매출이 오르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주식 또한 오르게 된 것이죠.

 

중국의 오픈 AI 딥시크와 엔비디아가 무슨 관련이 있냐?라는 물음이 자연스럽게 들게됩니다. 사실 미국은 중국으로 인공지능 개발에 필수 부품인 엔비디아의 GPU 칩의 수출을 통제했다는 것입니다. 중국의 인공지능 분야의 성장을 경계한 이유이기 때문입니다. 중국 입장에서는 능력이 뛰어난 GPU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고사양 GPU를 탑재한 챗GPT와 비슷한 능력을 가진 딥시크를 개발한 것입니다.

딥시크
인공지능

2025년 출시된 딥시크의 4번째 모델인 '딥시크-R1'출시와 동시에 전세계의 경제와 엔비디아의 주가가 갑자기 떨어지는등 출렁거렸던 이유는 바로 '딥시크-R1'에는 엔비디아의 고가 GPU를 장착하지도 않았으며 개발비 또한 저렴하면서 강력한 능력의 중국판 챗GPT가 나온 이유입니다. 

중국의 오픈 AI 딥시크의 출현으로 미국의 독점분야라고 생각되었던 인공지능 생태계는 미래에 또 다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상되며, 이와 더불어 GPU를 포함한 전 세계의  반도체 시장 또한 가격 조정이 될 수밖에 없다고 미래 전망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금보다 저렴하면서 강력한 인공지능의 시장이 올 것을 기대하며 우리나라도 잘 대응하여 전 세계 인공지능 사업을 이끄는 나라가 되길 기대해 보며 포스팅을 마칩니다.